Page 57 - PhotoView eMagazine 2023.9 issue27
P. 57

작가노트 Artist's Statement


       부엌이라는 익숙한 공간의 심리적인 낯섦을 이질적인 오브제를 통해  The psychological unfamiliarity of the familiar space called the
       표현한다.                                                  kitchen is expressed through heterogeneous objects.
       하얀 도마에 식재료들과 조리도구들은 real(실제)와 fake(가짜)가 공              The ingredients and cooking utensils on the white cutting
       존하며 라이팅도 이질적이며, 시선도 부자연스러운 왜곡으로 낯설고  board are both real and fake, the lighting is heterogeneous,
       불편한 부엌의 이미지로 재구성해 보았다.                                 and the gaze is unnaturally distorted, creating an image of an
       일반적으로 부엌에서 느낄 수 있는 따뜻함이 아니라 그 속에 있는 사람                 unfamiliar and uncomfortable kitchen.
       에게는 얼마만큼 그 공간이 차가울 수 있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I wanted to show how cold the space can be to the people
                                                              inside it, rather than the warmth that can usually be felt in a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작업한 『부엌도_To Heaven』은 ‘부엌’이라는  kitchen.
       공간이 가진 내밀함을 바탕으로 중년의 주부들의 정신적인 공허함을
       표현하고자 한다. 중년의 주부들에게는 약 20년을 육아와 살림, 혹은  『Kitchen diagram_To Heaven』, worked from 2019 to 2021,
       직장 일 등에 묶여 있다가 갑자기 시간이 주어진다. 이 때 많은 여성은  seeks  to  express  the  mental  emptiness  of  middle-aged
       심리적인 타격을 입게 되며 육체적인 고통도 수반하게 된다. 이 시리즈                 housewives based on the intimacy of the space called ‘kitchen’.
       는 이 시기 여성들이 갖는 공허함을 표현한다. 육신의 고통을 떨쳐내고  Middle-aged housewives are suddenly given free time after
       마음을 비워야만 살 수 있는 시절을 이 작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화                spending  about  20  years  tied  down  to  raising  children,
       려해 보이지만 밝고 흰 배경과 테이블, 빛이 나지만 속이 빈 식기들과  housekeeping, or working. At this time, many women suffer
       비워진 유리병들은 자의든 타의든 욕망을 비워낸 자들의 ‘초월함’을 표                 psychological damage and also experience physical pain. This
       현했다.                                                   series expresses the emptiness felt by women during this
                                                              period. This work shows a time when one could live only by
       부엌도’의 ‘도’는 그림‘圖’이다. 내가 이 작업을 전체적으로 구상할 때 영             shaking off physical pain and emptying one's mind. Although
       향을 준 것이 책가도 혹은 책거리이다. 사대부들의 궁중 화풍 책가도에                 it looks fancy, the bright white background and table, shiny
       서 19세기에는 민화풍의 책거리가 유행하는데 책이 없는 기물들을 표                  but hollow dishes, and empty glass bottles expressed the
       현한 그림들이 많았다. 그중에는 ‘복숭아’ 같은 과일도 있었다. 민화나  ‘transcendence’ of those who emptied their desires, whether
       설화에는 많은 과일이 상징적으로 등장하며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                    voluntarily or not.
       기도 한다. 앞의 시리즈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과일을 보면서 나의 유년
       시절의 기억이 떠올랐다. 그 기억은 나만의 설화처럼 지워지지 않았다.  The ‘diagram’ in ‘kitchen diagram’ is a picture. Chaekgado or
       민화나 설화 속의 과일이나 혹은 나처럼 잊히지 않는 과일에 얽힌 추                  Chaekgeori is what influenced me when I was conceiving this
       억은 누구에게나 있다. 그래서 2022년부터 작업을 시작한 『부엌도 _  work as a whole. In the 19th century, the folk painting style
       Episode of Fruits』는 ‘과일’이 새로운 주제이다. 제례의식이나 개인사         of chaekgaeori (chaekgado) in the court style of noblemen
       에도 빠지지 않는 과일을 통해 나와 나의 어머니, 어머니의 어머니…까                 was popular, and there were many paintings depicting objects
       지,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표현해 보고자 한다.                          without books. Among them, there were fruits like ‘peach’.
                                                              Many fruits appear symbolically in folktales and tales, and their
                                                              influence continues to this day. Memories of my childhood
                                                              came  to  mind  while  looking  at  the  fruit  that  appeared
                                                              frequently in the previous series. That memory was indelible,
                                                              like my own folk tale. Everyone has memories related to fruits
                                                              in folktales and tales, or just like me, unforgettable fruits. So,
                                                              in 『Kitchen _ Episode of Fruits』, which began work in 2022,
                                                              ‘fruit’ is the new theme. Me, my mother, my mother's mother...
                                                              through fruits that are included in rituals and personal affairs. I
                                                              would like to express our story as it continues.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